본문 바로가기
영화와 문화콘텐츠

플롯의 통일적 원리 - 희곡 드라마 작법

by ekgo4544 2025. 1. 7.
728x90
반응형

 

희곡의 플롯을 살펴보면서 무대화를 전제로 하는 희곡의 특성상 플롯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극평가 에릭 벤틀리는 "최고의 플롯은 하나에 하나를 보태고 또하나를 보탬으로써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어떤 통일적인 원리를 적용 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원리를 제공하는 방편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예언과 실현'이다.

고전 비극에서 많이 사용되는 예언은 그 예언이 성취될 것인가, 또 성취된다면 인물들은 어떻게 반응 할 것인가 하는 서스펜스를 만들어 내며, 동시에 예언의 성취 여부에 대한 관객의 비상한 호기심과 몰입을 유발한다.

근대 오면서 초자연적인 현상이나 운명에 대한 믿음이 옅어지고 합리주의적 사고가 대두하면서 예언이라는 플롯은 '꿈'이나, '전조', '환상'등으로 바뀌게 되었다. 등장인물은 예언자나 마녀에게서 예언을 듣는 대신 운명을 암시하는 꿈을 꾼다

플롯은 그것을 중심으로 서스펜스를 일으키며 전개된다. 이와 같은 복선의 설정은 전체 이야기가 통일적인 원리에 의해 짜여져 있다는 느낌을 주게 된다. 그런가 하면 등장인물들의 맹세, 통고, 간계 등도 복선으로서 플롯을 이끌어 가는 통일적인 원리로 활용된다. 

플롯은 극작의 생명이다. 플롯의 과중한 강조는 17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와 18세기 볼테르, 오비냑 신부등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그들은 행동의 절도있는 구조화와 서스펜스를 강조한 나머지,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야만인의 극"으로 치부하기까지 했다. 19세기에 오면서 흥미진진한 줄거리의 전개와 서스펜스에 의존하는 '잘 짜여진 극'이 등장하며 대중극으로 자리잡았다. 프랑스의 스크리브아 사르두가 주도했던 '잘 짜여진 극'은 당시 유럽과 미국에서 열광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많은 극작가들에게 플롯의 공식을 제공했다. 

이극은 처음엔 서스펜스와 액션이 너미는 흥미진진한 플롯으로 인해 대중의 인기를 끌었으나, 생동감 있는 인물 창조와 사상적 깊이를 결여 했기 때문에, 나중에는 생명없는 '기계적인 극작'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잘 짜여진 극'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주인공의 상황을 제시하는 제시부에서 관객에게 과거에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정보 덕분에 관객은 주인공의 라이벌인 악한이나 어떤 장애물에 의해 유발 되는 사건의 후속 '혼란'들을 이해 할 수 있다. 사태는 점점 악화되며, 주인공의 행운이 재난으로 역전되려 할 때 긴장이 강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반전'은 서스펜스를 만들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것으로 작품의 대단원을 지연시킨다. 줄거리는 대체로 어떤 비밀에 좌우되는데, 과객에겐 비밀이 알려지지만 당사자는 이 비밀을 모르게 때문에 극적긴장이 유지된다. 이 비밀은 클라이막스에 가서야 비로소 밝혀지게 된다.  

'잘 짜여진 극'은 '플롯'만을 절대적으로 강조한 형식이기 때문에 수많은 이계열의 극들이 다 인물 성격과 상황이 비슷비슷하게 느껴진다 희곡의 4가지 요소 중 특히 인물과 사상을 경시했기 때문에 한 작가마다 수적으론 몇백 편이나 되는 경이적인 수의 희곡을 남겼지만 좋은 작품으로 평가 받지 못했던 것이다. 희곡에서는 인물이나 정신은 사라지고 온통 사건뿐인것을으로 여겨진다. 

플롯은 희곡에 있어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플롯은 극의 의미를 만들어 내는 것이고,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인물의 성격이나 감정 생각을 드러내는 것이다. 인생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 그리고 인물들의 행동과 반응을 통해 우리 자신의 모습을 비쳐 보게 하는 것 그것이 플롯이다. 플롯만 중시되어서도 안되고 인물성격과 사상과 언어가 서로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받쳐 줘야하는 것이다.

 

 

 

김성희 - 연극의 세계 中

 

 

728x90
반응형